출처: Pixabay
수강 당시엔 어려웠지만 지나고 생각해보니 매우 유익했던, 경영시뮬레이션이라는 과목을 여러분들에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경영시뮬레이션 수업은 ARE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돌리는 방법을 배우는 수업인데요. 많은 시뮬레이션 중 대기행렬이론, 즉 Queue Theory을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션을 배웠습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전용 언어 중 하나인 ARENA를 활용하여 모델링과 실험 분석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ARENA가 처음에는 다소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공대생이 아닌 저도 해냈기 때문에 여러분들도 하실 수 있답니다! 제가 쉽게 ARENA 프로그램을 어떻게 실행시키는지 기초적인 것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출처: 직접 캡쳐
ARENA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기 위해 Model 3-1 파일을 불러왔습니다. 상단에 있는 1번은 툴바이며 좌측 2번은 Basic Process 모듈입니다. 마지막으로 3번은 실제 작성한 Flow chart를 만드는 공간이며 이 모델을 Run했을 때 Entity(개체)가 실제로 흘러가는 것을 보여줍니다.
출처: 직접 캡쳐
2번 Basic Process 모듈은 크게 Flowchart View와 Spreadsheet View로 나뉩니다. Flowchart View에 해당되는 모듈은 Flowchart를 구성하며 Spreadsheet View에 해당되는 모듈은 Flowchart에 따라 생성되는 모델의 데이터들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Flowchart에 영향을 주는 변수와 Flowchart 내의 자원, 그리고 정해진 일정이 있다면 여기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출처: 직접 캡쳐
이 모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부품이 드릴 센터에 도착하여 드릴 프로세스를 거친 뒤에 이 공정에서 나가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있습니다. 먼저 Flowchart를 그리면 부품이 도착한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Create 창을 만들어줍니다. 부품이 지수분포 5분에 따라 도착하기 때문에 Create 창을 더블 클릭하여 위 그림과 같이 입력해주면 됩니다.
출처: 직접 캡쳐
부품이 도착하면 Drill Center에 투입되어 드릴 작업을 받게 되는데요. 이 프로세스에서 자원은 Drill Machine이 되며 부품이 이 자원을 확보한 뒤 일정 시간 동안 드릴 작업을 받고 이 공정을 떠나기 때문에 Logic Action은 Seize Delay Release가 되는 것이죠! 드릴 작업을 받는 시간은 TRIA(1,3,6)을 따른다고 했으므로 이를 기입해주면 됩니다.
출처: 직접 캡쳐
마지막으로 부품이 떠나는 과정은 Dispose라는 창을 생성하여 이에 맞는 이름만 설정해주면 Flow chart가 완성!!! 혹시 내가 만든 시뮬레이션에 오류가 있진 않은지 확인해보기 위해서는 F4를 눌러 점검해 보시면 됩니다. 참 쉽죠?
출처:Pixabay 이 모듈은 ARENA를 이용해 만든 가장 기초적인 모듈에 해당됩니다. ARENA를 계속 배우다보면 자원이 쉴 때 어떻게 설정할지, Capacity를 어떻게 조정할지 그리고 의사결정(Decide)이 있을 때는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도 나옵니다. ARENA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출된 Report 결과로 현재 공정에 어떤 자원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도 알 수 있기 때문에 공정개선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물류 및 자재취급 시스템, SCM에서도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제대로 배워두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처음에는 다소 어려울 수 있지만, 하나하나 차근차근 배워보면 제법 재미있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화이팅:)
'생생 정보통 > 유쾌한 '물류&유통'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 물류 스타트업 시대 – 마켓컬리 ‘신선물류’ ‘샛별배송’ (0) | 2017.03.13 |
---|---|
생활속의 물류용어, OEM vs ODM (0) | 2017.03.13 |
나만을 위한 보관소, 셀프스토리지! (1) | 2017.03.05 |
하태핫태! 유통관리사 국가자격시험! (0) | 2017.03.05 |
많은 스타트업들은 물류플랫폼에 주목한다!! ‘고고밴’ (0) | 2017.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