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본인촬영>
물류에서 보관은 운송만큼이나 중요한데요, 보관하기 위해선 물품을 놔둘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죠.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둥과 선반으로 구성된 구조물’을 랙(Rack) 이라고 하는데요, 랙의 종류는 적층 랙, 행거 랙, 회전 랙, 이동 랙, 암 랙 등 다양합니다. 지금부터 여러 랙 중 대표적인 팔레트랙(Pallet Rack)과 유동랙(Flow Rack)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팔레트랙은 말그대로 팔레트를 보관할 수 있는 랙으로, 지게차를 사용하여 랙의 각 층과 셀마나 넣어두는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어떤 종류의 화물이라도 팔레트 위에 실려오면 보관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제한된 공간에서 입출고의 작업성을 최고로 극대화 할 수 있고, 입출고가 용이한 랙이라서 물류센터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럼 팔레트랙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1. 누구나 쉽게 팔레트 단위의 제품을 적재할 수 있다.
2. 화물 하중 조건에 따라 랙을 선정함로 안정성, 경제성이 우수하다.
3. 랙 규격 선택이 자유롭다.
4. 조립식 구조로 자유로운 랙의 이동과 설치를 할 수 있다.
5. 범용성이 높다. (다양한 화물을 취급할 수 있다)
6. 항시 재고 파악이 용이하다.
팔레트랙을 사용하면 제품이 팔레트 위에 차곡차곡 실려 오는 것을 지게차를 이용해 셀에 올려놓기만 하면 되어서 누구나 쉽게 적재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화물에 따른 다양한 하중에 맞추어 무거운 것은 좀더 안정적인 랙을 사용하는 등, 랙 규격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랙 규격이 다양하고 랙 자체가 조립식 구조로 되어있어 랙을 이동시키거나 설치하기 용이합니다. 또한 팔레트랙은 다양한 화물을 파렛트 위에 적재하기만 하면 보관 가능하므로 다양한 화물을 취급할 수 있습니다. 팔레트의 제품들이 전부 유닛로드화 되어 있어 재고 파악에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 : 본인촬영>
하지만 팔레트랙을 사용하면 팔레트 자체의 부피때문에 바닥면적의 활용이 비효율적이고 구조물 때문에 그냥 바닥에 보관하는 평치보관보다 공간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간효율의 문제점을 해결한 기존의 팔레트랙보다 훨씬 효율적인 랙이 있는데, 바로 한국랙스의전동 팔레트랙입니다. 전동팔레트랙은 랙과 랙 사이의 지게차 반출입 통로가 1개로서, 필요한 통로랙을 이동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존 고정 팔레트랙 공간보다 약 2배에서 2.5배의 공간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랙이라고 합니다. 기존 적치할 수 있는 팔레트 수 보다 약 2배 이상 적치할 수 있다고 하네요.
]
<출처 : 본인촬영>
<출처 : 본인촬영>
랙 자체를 이동시켜서 사용해서 공간효율을 높이고 랙 이동시 경고알림 기능과 작업자, 지게차 감지기능, 위급상황 발생 시 비상정지 기능도 있다고 합니다.
유동 랙은 Gravity Rack, Flow Rack, Sliding Rack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름 그대로 중력을 이용해 흐르는 원리를 가진 랙입니다. 선반에 장착된 롤러, 롤러컨베이어, 레일, 슬라이딩 선반 등을 이용하여 중력으로 출구 또는 입구 방향을 향해 화물이 이동하는 랙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랙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유동랙이 생소하실 수 있는데요, 이 유동랙은 우리가 평소에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출처 : 본인촬영>
바로 편의점입니다. 편의점에 음료수를 살 때, 제품을 하나씩 빼면 뒤에 있는 제품이 앞으로 다시 흘러나오죠? 이것이 중력을 이용한 유동랙입니다. 편의점 아르바이트 생들은 랙 뒤에서 재고를 다시 채워 넣습니다.
1. 다품종, 소량화물에 적합하다.
2. 재고관리가 용이하다.
3. 입,출하 작업장이 분리되어 있어 작업 효율이 높다.
4. 화물의 선입 선출이 용이하다. (FIFO)
<출처 : 본인촬영>
이 유동랙은 현대글로비스의 아산 KD 센터에서도 사용하고 있는데요, 제가 견학을 갔을 때, 자동차 부품을 랙에 적치 하는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 지고 있어서 매우 놀랐습니다. KD센터에서 랙에 적치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파렛트위에 자동차 제품을 잘 포장한 후 포장된 자동차 부품을 기계가 종류별로 랙위에 올려둡니다. 이 랙은 바닥이 롤러로 되어 있고 경사가 살짝 있어서 올려두면 제품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출하가 되는 앞쪽으로 흘러가서 적치됩니다.
<출처 : 본인촬영>
저와 함께 대표적인 랙인 팔레트랙과 유동랙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편의점 가서 " 이게 유동랙이라는 거야" 하며 아는척할 수 있겠죠? 랙의 종류는 이외에 정말 다양하게 많습니다. 우리 집 옷장에 있는 옷걸이는 일종의 행거랙이라고 할 수 있죠. 우리집에 각각 있는 책상이나 서랍 같은 것도 다양한 랙의 종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랙이라는 단어가 생소했던 분들은 이제 친숙해지셨나요? 이처럼 우리 생활 속에 물류가 있습니다.
'생생 정보통 > 유쾌한 '물류&유통'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북아 물류허브'로 거듭나다, 인천국제공항 (0) | 2017.07.20 |
---|---|
확실하게 줄여드립니다! 크로스도킹(Crossdocking) (0) | 2017.07.19 |
컨테이너 화물 운송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17.07.14 |
아마존으로 알아보는 조직의 위기관리! (0) | 2017.07.09 |
물류관리사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7.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