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Pixabay>
이제 컨테이너는 화물운송수단을 뛰어넘어 쇼핑, 문화공간의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건대에 위치한 컨테이너 복합 쇼핑몰 커먼그라운드인데요. 다들 쇼핑하기 위해 한 번쯤 가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과연 물류에서 컨테이너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을까요? 이번 기사에서는 화물운송수단으로 이용되는 컨테이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컨테이너란 20ft, 40ft 해운용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표준규격에 맞게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용기입니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컨테이너화물운송이라고 합니다.
<출처: Pixabay>
해운용 컨테이너의 표준은 20ft, 40ft인데요. 여기서 20feet 컨테이너는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라고 칭합니다. TEU는 컨테이너의 물동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표준단위로 이용되고 컨테이너 선박의 적재 능력을 나타내는 기준이 됩니다.
컨테이너운송은 크게 4가지 특징을 보이는데요. 먼저 컨테이너라는 용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송수단이 바뀔 경우에도 환적이 비교적 쉽습니다. 그리고 컨테이너는 표준화되어있어 컨테이너에 맞는 화물만 취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화물 크기에 제한을 두게 됩니다. 세 번째는 내구성을 갖추고 있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강점을 보입니다. 마지막 특징으로는 수송비, 포장비, 하역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출처: Pixabay>
그렇다면 컨테이너 운송에 장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앞서 말했듯이 컨테이너는 내구성 갖추고 있기 때문에 운송하는 과정에서 화물의 손상과 손실을 낮추고 보험료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컨테이너 자체가 포장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포장비 및 창고보관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환전 지점에서 빠르게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입니다.
<출처: Pixabay>
컨테이너 운송에도 단점이 있는데요. 가장 큰 단점으로는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비와 운반설비가 필요한데 매우 비싸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표준화라는 특성상 컨테이너에 적입할 수 있는 화물의 크기와 종류가 제한적이라는 것이 단점입니다. 마지막으로 만약 항구에 컨테이너를 하역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지지 않았을 경우 오히려 하역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출처: Pixabay>
컨테이너화물의 운송 형태는 크게 4가지입니다. 전혀 복잡하지 않으니 제가 쉽게 설명드릴게요! 먼저 FCL과 LCL에 대한 개념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FCL은 Full Container Load의 약자로 한 컨테이너에 한 회사의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FCL 화물은 CY(Container Yard)에서 취급됩니다. 반대로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로 컨테이너가 꽉 차지 못해 2개 이상의 수출자의 화물이 혼적 되는 경우입니다. LCL 화물을 취급하는 곳을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라고 합니다.
<출처: 자체제작>
두 번째 형태의 경우(CY → CFS), 수출지에서 송하인은 한 명이나 수입지의 수하인이 다수이기 때문에 CFS에서 FCL을 LCL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한 것입니다. 세 번째 형태의 경우(CFS → CFS), 송하인도 수하인도 다수입니다. 수출지에서는 FCL 화물로 만들어 수입지로 운송되면 다시 FCL을 LCL로 만드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수하인이 다수이기 때문이죠!
여러분 설명을 들으면서 수출지와 수입지에서의 CFS 기능이 다르다는 것 알아채셨나요? 수출지에서의 CFS는 LCL을 FCL로 만드는 작업을 하는 반면에, 수입지에서의 CFS는 다수의 수하인에게 화물을 분배하기 위해 FCL을 LCL로 만드는 작업을 합니다.
<출처: Pixabay>
다양한 화물운송 수단 중에서 컨테이너화물운송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해가 좀 가시나요?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물류의 세계입니다.
'생생 정보통 > 유쾌한 '물류&유통'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실하게 줄여드립니다! 크로스도킹(Crossdocking) (0) | 2017.07.19 |
---|---|
-물류 기본 상식- 팔레트랙과 유동랙 (0) | 2017.07.17 |
아마존으로 알아보는 조직의 위기관리! (0) | 2017.07.09 |
물류관리사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7.07.06 |
알고 보면 쉽다! 물류용어사전 ‘1PL~4PL’ (0) |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