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 정보통/유쾌한 '물류&유통' 이야기

아마존으로 알아보는 조직의 위기관리!

 

 

 


 

67일 오후 2

쇼핑몰 유통업체 아마존 홈페이지 접속에 이상이 생겼습니다.

제품 리스트를 보려고 클릭을 하면 오류 페이지가 떴습니다.

 

아마존은 이러한 위기를 어떻게 대처했을까요?

 

 

 

 

 

< 출처 : 픽사베이 >

 

 

조직에게 심각한 손실을 입힘으로써 조직의 존재가치를 위협하는 예기치 못한 사건, 사고 및 상황을 기업은 위기라고 칭합니다. 티머시 쿰스(클램슨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위기를 분류하였습니다. 그가 분류한 것에 의하면 위기는 자연재해, 악의, 기술적 문제, 인적 문제, 사고, 조직범죄, 루머, 규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를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위기관리라고 하는데요. 위기관리를 잘 한다면 기업의 신뢰도와 호감은 높아져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기관리를 못 한다면 땅콩회항같은 신조어를 만들 정도로 사회에 큰 파장을 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성공적인 위기관리 사례는 존슨앤존슨 타이레놀 위기관리 사례입니다. 1982년 미국 시카고에서 7명이 사망했는데요. 이 위기의 원인은 누군가 고의로 청산가리를 약에 넣었기 때문입니다. 존슨앤존슨 타이레놀 조직의 잘못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미국 전역의 타이레놀을 전량 회수했습니다. 100만달러의 비용이 들었는데도 말이죠. 더불어 24시간 상담 콜센터, 제품 포장 재설계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습니다. 존슨앤존슨 타이레놀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다시 부상할 수 있었습니다.

 

작은 위기가 큰 위기로 번질 수 있고 부적절한 대처 시 복합적 위기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대처를 잘 못할 시 조직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위기.


 


 

 

< 출처 : 픽사베이 >

 

 

아마존은 조직의 특성에 맞고 소비자가 불만 감정보다 흥미 감정이 먼저 앞서도록 대처를 했습니다.

아마존은 건물 옥상을 강아지 놀이 공간으로 설계할 만큼 직원들의 반려동물까지 생각하는 회사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아마존 시애틀 본사에는 약 4000마리의 반려견이 주인과 함께 등록돼있는데요. 이러한 조직의 특성을 활용하는 위기관리를 했습니다.

바로 오류 페이지 밑에 사진을 띄우는 것인데요. 그 사진 속 주인공은 바로 직원들 강아지 입니다. 그리고 아마존은 이용자들이 오류페이지를 클릭할 때마다 강아지 사진은 계속 바뀌게 했습니다. 소비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것에 불만을 가졌지만 귀여운 강아지 사진에 불평하지 못하고 SNS에 인증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대처는 SNS상에서 화제가 됐습니다.

 

 

 


 

< 출처 : 픽사베이 >

 

 

이러한 대처는 아마존이 핵심 소비자의 특성이 잘 잡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을 주로 이용하는 2030세대, 이들은 반려견에 관심이 많고 귀여운 강아지 사진에 긍정적인 반응을 한다는 특성을 아마존은 이해했습니다. 그래서 핵심 소비자에게 이러한 센스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각적인 대처와 핵심 타겟 특징을 이해하며 기업의 특성을 보여주는 센스 있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아마존의 위기는 커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바꾼 사례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