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 정보통/유쾌한 '물류&유통' 이야기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요식업계의 배달 전쟁!




<출처 - iconfinder, 직접 제작>

 

어디서든 주문할 수 있고직접 전화연결을 하지 않고도 손가락 몇 번으로 음식을 받을 수 있어 요식업계를 들썩이게 한 배달 전문 앱하루에도 몇 번이나 TV 광고에 등장하는 이들은 배달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그 반대의 측면도 존재하는데요. 홍보에 취약한 동네 식당은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누리는 한편 수수료 지급에 부담을 느끼기도 합니다.

우리에게 너무나도 가까운 물류 이야기,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외식업계 배달 전쟁, 배달 앱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출처 - 배민/요기요/배달통 공식 홈페이지, 직접 제작>


 

 

현재까지 가장 잘 알려진 배달 앱은 배달의 민족요기요배달통이 있는데요이 세 개 중 주문건수 1위는 단연 배달의 민족입니다트렌디한 광고와 탁월한 마케팅으로 2010년 출시되어 4년 만인 2014년에 매출 100억원을 달성했고이후로 더 큰 폭으로 성장해 2017년에는 1600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배달 앱 시장에서, 배달의 민족은 점유율 55.7%, 요기요와 배달통은 각각 33.5%, 10.8%입니다요기요배달통도 각각 670억원, 270억원 정도로 매출이 쭉쭉 성장중이죠배달 앱성장 원인이 궁금해지네요!

 

음식 배달은 굳이 앱 없이도 그동안 충분히 가능했습니다음식점을 한 데 모아둔 것이라면 20년 전부터 배달 음식 책자가 있었고요하루에도 서너 개의 배달 전단지가 현관 앞에 붙곤 하는데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배달 어플을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원인은  모바일시대의 결제 형태 변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스마트폰에 미리 깔아둔 결제 앱과 지문 혹은 홍채 등의 인증 수단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빠르게 결제할 수 있는 것이죠이는 모바일 쇼핑 호황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시간과 힘을 들이지 않고도 누워서 뭐든 해결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 것이죠배달 앱으로 시킨 음식이 배달되면 미리 현금을 찾아놓을 필요도띵동 소리에 놀라 지갑을 찾아다닐 필요도 없어진 겁니다.

 

소비자와 생산자운송자 세 단계면 가능했던 음식 유통이 생산자-배달 앱-배달 업체-소비자의 4단계로  늘어난 것입니다. 이렇게 중간 과정이 생기면서 광고료배달 수수료 등 음식점의 지출이 늘어났지만 음식값을 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배달 앱의 광고 페이지 이용을 안 하면 되지 않냐는 지적도 있지만 광고를 하는 업체가 음식점 목록 최상단에 게재되기 때문에 광고를 하지 않는 것은 쉽지 않은 결정입니다. 맛있는음식을 만들어 손님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은 별점순보다도 앱 추천’ 음식점이 위에 나열되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좋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우리 가게만 광고를 하지 않는 것은 시장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낳게 되는 겁니다.

 

 

굳이 광고를 올리지 않아도 기본 수수료 자체가 음식 값의 10%적은 것은 아닙니다한 달에 1000만원의 매출을 올리면 100만원 가량을 배달 앱에 줘야하는 겁니다배달 앱을 통해 주문이 들어오면 음식점은 음식을 만들어 배달 대행업체에 전달하는데 이 때 대행업체 수수료도 건당 3000원대로 무시할 수 없는 지출입니다배달 앱 광고를 통해 보이는 매출은 몇 배로 올랐대도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한 마리에 15000원가 7000원의 치킨을 배달한다고 했을 때 배달 수수료 3500앱 수수료 1500원을 빼면 남는 돈은 3000원 정도점주의 인건비 정도만 겨우 남는 건데요이 마저도 앱에 광고를 올려 수수료를 내고 있다면 매출은 올라도 이익은 떨어지는 상황이 연출되는 것입니다.

 

<​출처 - 배민/요기요/배달통 앱 캡쳐, 직접 제작>

 


 

프랜차이즈가 아닌 식당의 경우 홍보나 마케팅 여건이 되지 않아 앱을 통해 광고할 수 있다는 것은 좋은 점입니다하지만 여기에도 아쉬운 점이 남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배달 앱 시장에서 특정 어플의 점유율이 절반 이상이다보니, 앱 측에서 수수료를 인상하게 되면 식당들은 방침을 따를 수밖에 없으리라 예상됩니다. 배달의 민족의 경우 입찰식 광고로 업종별 경매를 통해 가장 높은 값을 지불하는 업체를 최상단에, 그 후 순차적으로 광고를 게재하는 것이 논란이 됐습니다. 배달의 민족 측에서는 한 점포당 월 평균 광고료가 15만원 안팎이며 50만 원 이상 광고료를 지불하는 곳은 전체 중 4%에 그친다고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그러나 이는 한 앱에서만의 지출이고 업계 상위 세 앱에 모두 광고를 올린다면 그 비용은 그 이상일 것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앱 업체와 음식점주, 그리고 앱 이용자가 모두 윈윈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앱 업체는 첫 화면의 광고비율을 줄이고 실제 고객의 리뷰와 평점을 중심으로 비()수수료 광고란을 개발해 운영하는 것은 어떨까요? 돈만 내면 올라올 수 있는 광고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이 생긴다면 앱 이용자 수도 늘고 좋은 이미지 또한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매가 아닌 음식의 질로 승부하는 경선’ 분위기가 확립된다면 요식업계와 그를 둘러싼 다양한 사업에도 좋은 바람이 불 것 같습니다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함께 사는 민족 아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