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 정보통

현대모비스는 그 많은 재고를 어떻게 관리할까?



                             <출처:픽사베이>                                 





현대모비스의 주요 사업은 자동차의 부품용 모듈, 애프터서비스용 부품, 멀티미디어기기 및 전자제어장치 개발, 생산, 판매, 수출입이다. 자동차 3대 핵심 모듈인 섀시모듈, 운전석모듈, 프론트엔드모듈을 생산하여 현대·기아자동차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국내외를 통합하여 25개의 물류거점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복잡한데다, 취급하는 부품 가짓수가 많아 관리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자동차 보수용 부품은 판매량이 적고 간헐적 수요가 대부분이며, 공급부족 시 소비자 대체수요가 불가능하고 의무공급 기간이 깁니다. 또한 관리 차종 및 사양 증가에 따라 재고관리 대상 부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할 재고보관단위가 750만SKU(Stock Keeping Unit)에 달합니다. 그렇다면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재고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요?









<사진출처: 픽사베이>



현대모비스는 점차 복잡해지는 물류 네트워크와 그에 발맞춰 필요한 재고를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직서열 방식, 모듈화 방식, WOS, MRO자재 재고관리 지원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이 시스템이 다소 생소하실텐데 바로 설명해드릴게요!!

 





#직서열 방식(JIS : Just In Sequence)

직서열 방식은 완성차 업체에서 주문이 들어오는 동시에 생산을 시작하기 때문에 재고가 발생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다시 말하면 JIS은 완성차 생산라인의 생산순서에 따라 시스템이 운영되기 때문에 재고공간이 필요 없으며 공간적 부담과 비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모듈화 방식

모듈화 방식은 JIS가 철저한 품질관리 시스템으로 완성될 수 있던 이유이기도합니다. 모듈화 방식은 완성차 업체가 부품의 설계부터 판매까지 이르는 전 과정을 부품업체에 맡겨 생산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을 합니다. 때문에 완성차 업체는 부품의 품질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고 생산과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 모듈화 생산의 장점을 극대화하기위해 기능통합형 모듈 설계에 주력하여 모듈에 들어가는 부품들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현대모비스는 독보적인 생산성을 확보했습니다.

  




#창고최적화시스템(WOS : Warehouse Optimization System)

창고최적화시스템은 재고현황을 3차원 입체화면으로 시각화한 시스템입니다. 재고의 입체적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적화, 개선전후 데이터 비교분석을 통해 각 부품이 위치해야 할 최적의 위치, 불필요한 동선 축소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조업정비용(MRO : 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자재 관리 지원시스템

MRO는 이전까지 수작업으로 관리해 오던 목표재고 관리업무를 전산화해 목표재고를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목표재고 대비 현재 수준을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구매예산 대비 입고실적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재고 상세내역을 종전 사용실적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장기간 사용되지 않을 자재에 대해서는 능동적으로 활용 가능한 부서를 찾을 수 있도록 타 부서 사용실적 정보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의 JIS는 자동차 생산 공정과 동일한 시간대에 부품이 생산돼 재고가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재고물량을 없애 물류비는 물론 생산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JIS 덕분에 다양한 혼류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잡한 자동차 생산과정을 완벽하게 하여 생산 계획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또 모듈화방식을 통해 완성차를 만드는 시간을 단축해 비용 절감과 품질력 향상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현대모비스는 국내 33개 물류거점에 창고최적화시스템 구축을 완료함에 따라, 각 거점별로 재고배치를 최적화하여 사업소, 부품센터, 물류센터별로 보유 재고의 수불빈도가 높은 부품을 골든 존에 배치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부품배치 원칙에 따른 센터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됐으며, 재고관리 효율성이 향상된 것은 물론 물류비가 약 3%절검되는 효과가 났습니다. 마지막으로 MRO자재 관리 지원시스템 가동으로 축적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재고관리 업무수행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전략적 재고계획 프로세스를 통해 무조건 재고를 최소로 줄이는 재고 최적화가 아니라, 실현 가능한 안전재고를 확보하면서 주기적으로 재고배치를 최적화하는 체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그 결과 소비자 요구수준을 만족시키면서 재고수준도 최적화되어 글로벌 기업으로써의 현대모비스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