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돌아오고 있다고? 리쇼어링이란?
최근 많은 초국적 기업들 (Transnational Enterprises) 이 본국으로 돌아오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름하여 ‘리쇼어링 (Re-shoring)’ 또는 ‘생산시설 국내 이전’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쇼어링 (Re-shoring) 이란?
리쇼어링이란 해외에 있던 생산시설을 자국으로 다시 옮기는 현상을 일컫는데, 이는 해외로 진출하는 오프쇼어링 (Off-shoring)의 반대 개념입니다.이러한 현상은 2000년도 초반부터 서서히 시작되다가, 최근에 들어 더욱더 뚜렷한 형상을 보이는데요, 보호주의 (Protectionism)가 더 강세를 보임에 따라 이러한 리쇼어링 현상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실제로, 미국의 항공기 회사인 보잉과 미국의 자동차 회사인 GM (General Motors)은 오바마 행정부 때부터 리쇼어링을 준비하여 현재 미국의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고 있고, 일본의 전자업체인 파나소닉과 NEC, 자동차회사인 혼다는 본국으로 생산설비를 이전하여 일본 경제의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컨설팅 회사인 BCG가 미국기업들을 대상으로 2012~2014년간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리쇼어링 계획이 있는 기업이 2012년 10% 수준에서 최근 24%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쇼어링의 이유는?
그렇다면, 이러한 초국적 기업들은 왜 본국으로 회귀하는 것일까요? 그 원인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대표적인 몇 가지 이유를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로는, 기존 낮은 원가 생산지의 인건비 상승이 있습니다. 초국적 기업들의 텃밭인 중국이 최근 급속도로 경제 발전을 이룸에 따라, 인건비 상승과 노동 관련 규정법들의 개정 또한 함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2005년 기준 중국의 최저임금은 약 367위안 (약 6만 원) 였는데, 2011년 기준 1023위안 (약 17만 원)으로 상승하였습니다. 노동관련 규정법들 또한 개정됨에 따라 이러한 변화는 기업들에는 부담으로 다가왔던 것도 리쇼어링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인건비 부담과 더불어, 최근 기술/자본 집약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생산 기술의 고도화로 인한 생산원가 감소도 리쇼어링 결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덕에 나타난 ‘스마트공장’ 건설 트렌드가 이러한 현상의 예시인데, 실제로 독일의 대표적인 스포츠업체인 ‘아디다스’는 본국에 스마트공장을 설립함으로써 리쇼어링을 실시하였습니다.
생산원가 감소는 단순히 기술의 발전 때문은 아니고, 적기출시(Time to Market), 물류, 운전자본 등으로 원가관리의 다양한요소도 이바지를 하고 있습니다. 생산지와 수요지 간 거리가 단축될 경우 물류, 운전자본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자-수요자 거리를 줄임으로써 적기출시도 유리해 전체적인 생산원가 감소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본국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인센티브가 기업들의 리쇼어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프쇼어링에 따른 국가 경제 정체, 자국 내 제조업 경쟁력 하락, 세수 감소 및 일자리 감소와 같은 현상들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오바마 행정부는 지원 정책으로 2014년 기업 이전 비용의 20%를 정부가 지원하고 법인세율은 35%에서 28%로 줄이는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그 결과로, 약 100개의 미국 기업들이 리쇼어링을 추진했고, 17개 주에서 180억 달러의 신규 투자가 창출되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또한 이러한 리쇼어링 지원 정책을 약속함으로써 앞으로의 리쇼어링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보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리쇼어링은 내수시장이 크지 않고 해외수요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기업들에 전략적 대안으로서의 매력이 특별하지는 않습니다. 해외시장을 중점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들이 리쇼어링을 추진할 경우, 가치사슬 간 협력은 강화되나 적시 출시, 물류, 운전자본 비용은 오히려 악화할 개연성이 큽니다. 쉽게 풀자면, 해외 시장이 수요자인데, 생산자가 한국에 위치할 경우, 되려 리쇼어링의 혜택을 못 받게 된다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리쇼어링(Re-shoring)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드렸는데요, 리쇼어링은 국제 물류에서 앞으로 더 활발한 양상을 보일 거라 예상됩니다. 제가 소개해드린 기본 정의나 실제 예시 이외에도 더 많은 정보가 있으므로 이번 기회에 관심으로 공부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 영글로비스 6기 권순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