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위치를 너가 어떻게? 위치기반서비스(LBS)
<사진 출처 : Pixabay 및 본인 제작>
자동차를 타고 가다보면 나의 차가 어디쯤 와있는지 또 목적지는 어딘지 또는 약속장소에 늦지 않기 위해서 내가 탈 버스가 몇 분 뒤에 도착하는지 등 정보통신기술의 진보는 우리 삶의 교통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요, 그렇다면 오늘은 정보통신기술의 여러 분야 중 하나인 위치기반 서비스(LBS)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는 말 그대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죠! 위치기반 서비스(LBS)에는 대표적으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와 지리정보시스템(GIS)가 있습니다.
<사진 출처 : Pixabay>
아버지의 자가용을 탈 때면, “GPS를 찾았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를 자주 들어본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입니다. 반면,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은 인공위성으로 수집된 사용자 주변의 정보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주변 위치와 상세한 부가 정보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위치정보와 주변 환경정보의 차이라고 할 수 있죠. 생각보다 많이 접해본 두 용어인데도 불구하고, 의미에 있어선 명확히 다르죠?
<사진 출처 : Pixabay>
위치기반 서비스(LBS)를 응용한 기술 중 하나인 ‘텔레매틱스(Telemetics)’라는 기술이 있습니다. 텔레매틱스 기술은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공학(Informatics)의 합성어로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위치정보와 교통안내, 긴급구난 등의 정보와 더불어 인터넷 및 모바일 오피스 기능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자동차 내외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큰 제약 없이 쉽게 사용가능하다는 이야기죠. 실제로 현대자동차의 경우 KT와의 텔레매틱스 ‘블루링크(Bluelink)' 서비스를, SKT는 기아자동차의 텔레매틱스 ’유보(UV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텔레매틱스 기술은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시키면서 꾸준히 진보하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영화 <트랜스포머>에서의 ’범블비‘처럼 우리의 자가용과 주인인 제가 이야기를 할 날이 머지않을 것 같습니다.
<사진 출처 : Pixabay>
그렇다면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LBS)를 하려면 무슨 장치로 어떤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플랫폼은 단말기와 위치측정 게이트웨이(Gateway) 그리고 응용 서버 총 3가지의 장치로 이루어집니다. 단말기는 말 그대로 휴대폰이나 PDA 등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장치이죠. 다음은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용어인 위치측정 게이트웨이입니다. ‘게이트웨이(Gateway)'란 직역하면 ’길의 문‘인데, 의역하면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위치측정 게이트웨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스템입니다. 마지막으로 응용서버는 유무선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저장,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위치기반 서비스에서는 간단한 정보에서부터 복잡하고 뒤얽힌 정보까지 방대한 양의 정보를 다뤄야하기 때문에, 별도의 데이터 창고인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를 두고 활용합니다.
<사진 출처 : Pixabay>
위치기반 서비스(LBS)에서 위치를 파악하는 핵심적인 기술은 앞서 설명 드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입니다.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위치와 시간을 정확하게 알아내는 일종의 항법 기술로, 간편한 사용, 시간 및 장소의 정확성 무엇보다도 기상 여건과 낮밤의 경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치 파악에 있어서 처음부터 GPS를 사용했던 것은 아닙니다. 초창기엔 사용자의 휴대폰과 기지국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아 이를 바탕으로 휴대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지만, 오차 범위가 꽤 컸습니다. GPS는 이러한 오차 범위를 대폭 줄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 신호가 파악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까지 파악할 수 있어 범용성 있게 되었습니다. 군사 부문에서도 GPS가 많이 활용되는데, 최첨단 무기에 부착된 GPS 수신기는 정확한 목표지점을 찾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사진 출처 : Pixabay>
지금까지 위치정보 시스템(LBS)와 이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 3가지 그리고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에 대해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았는데요, 도움이 조금 되셨나요? 영글로비스 5기 취재팀 기자 임우성이었습니다.